'2025/11/28'에 해당되는 글 1건

  1. 10:03:51 사급 마감 개념 정리
300x250
SMALL

사급마감개념

 

1. 사급(社給, 사급자재) 개념 정리

  • 사급자재: 우리 회사가 일괄 구매해서 외주/임가공 업체에 보내 사용하는 자재
    • 정의: “자재를 우리가 구입해서 임가공업체에 공급한 후, 그 자재로 제조하게 하는 구조”
  • 무상사급: 외주업체에 자재를 ‘공짜로’ 주고, 가공비만 받는 형태 (가장 일반적)
  • 유상사급: 자재도 외주업체에 ‘판매’하는 구조(자재대 별도 정산·매출 처리)

이때 “사급 마감”은
① 실제 사용한 사급자재 수량을 확정하고
② 그 사용분을 재료비(원가)로 인식하며
③ 남은 수량은 사급재고로 남기는 월말 정산 작업을 의미합니다.


300x250

2. 무상 사급 기준 비용 처리 루트(가장 일반적인 케이스)

2-1. 자재 구매 시

  1. 우리 회사가 원재료를 매입할 때
  • 분개 예시
    • 차변: 원재료(또는 원재료-사급용)
    • 대변: 매입채무(또는 보통예금 등)

→ 이 시점에는 그냥 일반 원재료 재고로 잡습니다.


2-2. 사급 출고(자재를 외주업체에 내보낼 때)

  1. 사급 출고 시: 창고에서 외주업체로 물건이 이동
  • 물리적으로는 나갔지만, 재고의 소유는 여전히 우리 회사입니다.
  • ERP·회계처리 예시
    • 차변: 사급자재(또는 외주사급자재, 사급재고 등 별도 계정)
    • 대변: 원재료

→ 재고 안에서 “원재료 → 사급자재”로만 이동시켜, 장소만 바뀐 걸 표시하는 개념입니다.


2-3. 사급 마감(월말/분기말 정산)

  1. 월말에 외주업체에서 “사급 자재 사용내역서” 또는 “사급재고 실사표”를 받아서,
  • [사급 출고량] – [사급 잔량] = [실제 사용량]
    을 계산합니다.
  1. 사용분을 원가로 반영 (재료비/제품원가로 대체)
  • 분개 예시
    • 차변: 재공품 또는 제품(직접재료비)
    • 대변: 사급자재

→ 이 시점에 비로소 사급자재가 “재료비 → 재공품/제품 → 매출원가”로 들어가는 구조입니다.

  1. 남은 사급재고는
  • 차변: 사급자재(잔량 그대로 유지)
  • 재무제표 상 재고자산(사급자재)로 계속 보유

2-4. 외주가공비 처리(사급과 별도로)

사급자재와는 별개로, 외주업체는 “가공비”에 대한 세금계산서를 발행합니다.

  • 분개 예시
    • 차변: 외주가공비(또는 임가공비) –> 이후 매출원가에 귀속
    • 대변: 미지급금/외주가공비지급 등

그리고 원가결산 시,

  • 외주가공비도 재공품/제품 → 매출원가로 함께 대체됩니다.

즉,

사급자재 사용분(재료비) + 외주가공비 = 해당 제품의 제조원가(매출원가의 일부)


3. 유상 사급일 때 비용·수익 처리 루트(요약)

유상사급은 구조가 달라집니다.

  1. 우리 회사가 자재를 사 와서
    • 차변: 상품/원재료
    • 대변: 매입채무
  2. 외주업체에 유상으로 넘길 때(실질적으로 ‘판매’)
  • 자재 공급 시
    • 차변: 외상매출금(또는 미수금)
    • 대변: 매출(사급자재 매출)
  • 해당 자재의 원가
    • 차변: 매출원가
    • 대변: 상품/원재료
  1. 외주가공비는 별도(무상사급과 동일)로
    • 차변: 외주가공비
    • 대변: 미지급금

실무에서는 “유상사급은 자재 매출·매출원가로 처리, 무상사급은 단순 재료비로 원가에 귀속”이 기본입니다.


4. 사급 마감 시 체크해야 할 포인트

사급 마감에서 실무적으로 중요한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외주업체별 사급재고 수량
    • 업체·품목별로 사급잔량이 맞는지(ERP vs. 업체 관리대장 vs. 실사)
  2. 실제 사용량 산정 방식
    • “출고 – 잔량 = 사용” 구조로 맞는지
    • LOSS(스크랩, 파손, 제조손실) 처리 기준이 내부 규정과 일치하는지
  3. 유상/무상 사급 구분
    • 계약서 상 자재 소유·비용 부담 주체가 누구인지
    • 유상이라면 부가세/매출·매출원가 처리까지 연결해야 함
  4. 원가센터/프로젝트 배부
    • 사급자재 사용분을 어느 제품/라인/프로젝트에 귀속시킬지
    • 원가전표 상 코스트센터, 작업지시번호(W/O) 등 연결 여부

5. 정리: “사급 마감 비용 처리 루트” 한 줄 요약

  • 무상사급 기준으로 보면,
    1. 자재 매입 → 원재료 계상
    2. 사급 출고 → 원재료 → 사급자재(재고 내 이동)
    3. 사급 마감(사용량 확정) → 사급자재 → 재공품/제품(재료비)
    4. 외주가공비 + 사급재료비 → 최종 매출원가로 귀
728x90
300x250
LIST
Posted by Min Woo Kwon
이전버튼 1 이전버튼

11-28 10:09
250x250
블로그 이미지
Daily Information from the Korea
Min Woo Kwon
Yesterday
Today
Total

달력

 « |  » 2025.1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


Enter your email address:

Delivered by FeedBur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