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x250
SMALL

삼성전자 스피커 브랜드

​​삼성전자는 자회사 하만 인터내셔널(이하 하만)을 통해 다양한 스피커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5년 5월 7일(현지시간 5월 6일), 삼성전자의 자회사 하만이 미국 마시모의 오디오 사업부를 3억 5천만 달러(약 5천억 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하며 보유 브랜드가 더욱 확장되었습니다. ​이는 2017년 하만 인수에 이어 8년 만의 대규모 인수합병입니다.



​ 하만 산하 기존 브랜드

JBL: ​휴대용 소형 무선 블루투스 스피커(JBL GO4) 및 파티 스피커(JBL PARTYBOX710AS1) 등 다양한 제품을 포함하는 대중적인 오디오 브랜드입니다. ​JBL은 포터블 오디오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하만 카돈(Harman Kardon): ​오닉스 스튜디오 8 블루투스 스피커 등 프리미엄 음향 제품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AKG: ​헤드폰, 이어폰 등 전문 음향 장비와 스튜디오 작업실에서 사용되는 고품질 오디오 제품으로 유명합니다.

마크 레빈슨(Mark Levinson): ​하이엔드 오디오 브랜드로 최고의 사운드를 제공합니다.

렉시콘(Lexicon): ​하이엔드 오디오 시스템을 포함한 음향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레벨(Revel): ​하이엔드 오디오 스피커를 제조하는 브랜드입니다.


마시모 오디오 사업부 인수 후 추가된 브랜드

바워스앤윌킨스(Bowers & Wilkins, B&W): ​1966년 영국에서 설립된 하이엔드 오디오 제조사로, 고급 소재, 독창적인 디자인, 뛰어난 음질로 유명합니다. ​대표작 '노틸러스' 스피커는 개당 1억 5천만 원을 넘는 고가 제품으로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스피커'로 평가받습니다. ​데이비드 베컴이 홍보대사로 활동했던 제플린 무선 스피커와 PX7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도 인기 제품입니다. ​B&W는 롤스로이스, BMW 등 최고급 자동차 브랜드의 오디오 파트너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데논(Denon): ​115년 역사를 지닌 브랜드로 CD 플레이어를 최초로 개발했습니다. ​CD 리시버, 인티앰프, 턴테이블, AV 리시버 등 다양한 오디오 기기를 생산합니다.

마란츠(Marantz): ​앰프와 리시버 분야에서 프리미엄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프리앰프, 인티앰프, 올인원 앰프, AV 리시버 등 다양한 제품이 있습니다.

폴크(Polk): ​북셸프 스피커, 서브우퍼, TV 사운드바 등 다양한 스피커 제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데피니티브 테크놀로지(Definitive Technology): ​고성능 오디오를 추구하는 브랜드입니다.

​이처럼 삼성전자는 하만 인수에 이어 마시모 오디오 사업부 인수를 통해 저가부터 초고가까지 아우르는 폭넓은 오디오 라인업을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인수는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TV, 가전제품과의 연결성을 강화하고 스마트싱스(SmartThings)와의 통합을 통해 소비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자동차에 적용 되는 하만  브랜드 리스트


Harman Kardon: 고급스러운 디자인과 고품질 사운드를 제공하는 프리미엄 오디오 브랜드로, 홈 오디오 시스템, 사운드바, 무선 스피커 등을 선보입니다.

Infinity: 카 오디오 및 홈 오디오 분야에서 고성능 스피커를 제공하는 브랜드입니다.

Lexicon: 전문 오디오 시장에서 디지털 오디오 프로세싱 및 홈 시어터 시스템으로 명성이 높습니다.

Mark Levinson: 최고급 하이엔드 오디오 시스템을 전문으로 하는 브랜드로, 오디오 애호가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Revel: 고성능 라우드스피커를 개발하고 생산하는 브랜드입니다.

AKG: 마이크, 헤드폰 등 전문 음향 장비 분야에서 오랫동안 인정받아온 브랜드입니다.

Bang & Olufsen (카 오디오 부문): 자동차 제조사와 협력하여 프리미엄 카 오디오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전체 브랜드 소유가 아님)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및 커넥티드 서비스 브랜드:

HARMAN Connected Services: 자동차, 소비자, 엔터프라이즈 시장을 위한 커넥티드 기술 및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Symphony Teleca: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및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였습니다.

 

300x250

 

728x90
300x250
LIST
Posted by Min Woo Kwon
300x250
SMALL

남아 아기 말하는 시기

 

300x250

남아 아기가 말을 시작하는 평균 시기와 말이 늦는 경우의 원인, 발달 체크 포인트까지 정리했습니다.

일반적인 발달 범위와 병원 상담 기준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리 아기, 말이 늦는 걸까?”

첫돌이 지나고 주변 아이들이 단어를 하나둘 말하기 시작하면
부모는 자연스럽게 걱정하게 됩니다.

특히 남아는 여자아이보다 언어 발달이 평균적으로 조금 더 느린 경향이 있어
같은 또래와 비교할 때 더 조마조마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남아 아기의 언어 습득 시기와 정상 발달 범위, 점검해야 할 요소를 정리합니다.


남아 아기 언어 발달 시기 기준

 ① 생후 6~9개월: 옹알이 전성기

  • “바바바”, “마마마” 등 반복적인 옹알이 활발
  • 소리의 높낮이를 조절하며 ‘말 흉내’ 시작
  • 부모 목소리 구분 가능

Tip: 이 시기 부모가 자주 말 걸어주면 옹알이 발달이 빨라집니다.


② 생후 10~12개월: 첫 단어 준비 단계

  • 특정 사물에 관심 집중
  • “빠”, “마” 같은 단일 음절을 의도로 사용
  • 비언어적 표현(손가락질, 끄덕임) 증가

아직 단어를 말하지 않아도 발달 범위 안입니다.


③ 생후 12~18개월: 첫 단어(첫말)가 나오는 시기

남아 아기의 평균 첫 단어는 14~16개월입니다.
여아보다 약 1~2개월 뒤에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 “맘마”, “아빠”, “더”, “개”, “줘” 같은 단어 사용
  • 단어 수: 약 10~50개
  • 주변 단어를 듣고 따라 하는 흉내 증가

④ 생후 18~24개월: 단어 폭발기(Word Explosion)

  • 새로운 단어 습득 속도가 크게 빨라짐
  • 2단어 조합 시작: “엄마 줘”, “물 더”, “형 와”
  • 단어 수: 약 100~300개

이 시기에 거의 말이 없거나 단어 수가 매우 적으면 점검이 필요합니다.


남아가 말이 늦는 이유 (정상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남아는 아래 특징 때문에 ‘말이 늦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 성향의 차이

  • 탐색·신체활동이 언어보다 우선되는 경향
  • 말보다 행동으로 표현하려는 성향

✔ 기질적 요인

  • 조심스러운 아이일수록 말문이 트이기까지 시간이 걸림
  • 언어를 완성도 있게 말하려는 성격

✔ 환경적 요인

  • 부모가 말로 대신 표현해주는 경우
  • 텔레비전·영상 시청량이 많은 경우

체크리스트 – 병원 상담이 필요한 경우

나이정상 범위 밖의 신호
12개월 옹알이가 거의 없음, 반응 없음
18개월 단어 5개 미만, 이해력 부족
24개월 단어 조합 전혀 없음
36개월 발음이 대부분 알아듣기 어려움

언어는 “말하는 것”보다 이해력(수용언어) 이 더 중요합니다.
이해력이 떨어지면 발달 평가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남아 언어 발달은 ‘범위 내의 다양성’이 크다

남아는 평균적으로 여아보다 1~3개월 정도 느린 자연 발달 패턴을 보입니다.
중요한 것은 또래 비교보다

  • 이해력
  • 반응
  • 의사소통 의도
    이 세 가지가 존재하는지입니다.

부모가 자주 말 걸어주고, 아이가 스스로 표현하도록 기다려주는 것이
언어 발달을 돕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728x90
300x250
LIST
Posted by Min Woo Kwon
이전버튼 1 이전버튼

11-28 16:47
250x250
블로그 이미지
Daily Information from the Korea
Min Woo Kwon
Yesterday
Today
Total

달력

 « |  » 2025.1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


Enter your email address:

Delivered by FeedBurner